분류 전체보기(81)
-
칵테일처럼 내 아이디어를 섞는 방법을 가이드 해주는 책 : 믹스
칵테일이 재밌는 이유는 우리가 이미 아는 술을 섞어서 재밌는 새로운 술을 만들기 때문이다. 어떤 맛이 날지, 어떤 색깔을 띌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대감을 갖고 주문한다. 몇 모금 안 되는 한 잔의 술에 비싼 돈을 기꺼이 지불하는 이유는 이렇게 호기심을 자극한다는 점 때문도 있을 것 같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모든 기업들이 가능한 모든 아이디어로 사업을 하고 있다. 더 이상 유일무이한 새로운 아이디어란 없다. 그렇다면 나는 사업에 도전하지 말아야 할까? 눈에 띄는 무언가를 만들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 걸까? 책 믹스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모든 위대한 예술가와 과학자들도 남을 베끼며 성장했고, 남을 모방하다가 그것들을 잘 섞고 내 아이디어를 섞어서 자기만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칵테일은 얼마든..
2023.06.01 -
유용한 Javascript 교육 / 스터디 자료
자바스크립트의 딥한 공부를 위한 로드맵 https://learnjavascript.online/knowledge-map.html?ref=producthunt Knowledge Map | Learn JavaScript This knowledge map shows most of the topics you need to know about when learning modern JavaScript. Log in to the LearnJavaScript.online course. Completed topics will be highlighted and linked to their related lessons. Feedback learnjavascript.online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스타일 가이드 등 유명한..
2023.05.19 -
도파민네이션
중독이란 넓게 봤을 때 중독은 어떤 물질이나 행동이 자신 혹은 타인에게 해를 끼침에도 그것을 지속적, 강박적으로 소비,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어떤 대상에 중독되는 데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는 그 대상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이다. 중독을 일으키는 대상을 구하기 쉬울수록 시도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 또한 정신적 외상, 사회적 격변, 가난도 중독의 위험을 높인다. => 즉 고통 현대인의 중독 : 더욱 낮아지는 허들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약물 중독 같은 극단적인 사례만 있지 않다. 현대인은 사소한 불편조차 견딜 수 없게 되었다. 우리는 순간의 고통, 현재의 지루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저 놀기 위해 계속 애쓰고 있다. 전자기기만 붙잡고 지내는 게 우울감과 불안감을 키우고 있을 거다. 매..
2023.05.17 -
봄산책
개나리가 만개했다. 밤에 가로등 불을 받아서 화사하게 빛난다! 군데군데만 조그맣게 핀 꽃들이 귀여웠다. 만개한 꽃도 이쁘지만 이런 모습도 아기자기하고 이쁘다. 10키로를 걸어버림.
2023.03.29 -
[GPT] GPT4 사용 후기 + 6개월 사용 후기
(6개월 사용 후기는 맨 밑으로 내려주세요) 다들 알고 있겠지만 GPT는 요즘 가장 핫한 딥러닝 모델 중 하나로, OpenAI에서 개발했다. 채팅 형태로 AI와 고수준의 질의응답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이 모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chat GPT이다. 고수준의 답변, 인간 친화적인 말투, 채팅의 맥락을 기억하고 이해하여 매 질문 마다 설명을 장황하게 늘어놓지 않아도 된다는 점 그리고 코드까지 만들어주고 질문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까지 자연스럽게 제공해준다는 점 등에서 업무를 훨씬 쉽게 만들어주고, 무언가를 만들 때도 훨씬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프로그래밍쪽이) 최근 이 딥러닝 모델의 버전4가 나왔다. OpenAI에 의하면 버전4가 그들의 마지막 마일스톤이라고 하니 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을 ..
2023.03.27 -
2년차 주니어 프론트 개발자가 시니어 프론트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하게 된 일 : 기획 분석 / 기능 정의서 작성하기
나는 사실 시니어 개발자가 되고싶진 않다. 시니어 개발자가 된다는 것은 그만큼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실.. 그리고 실무 외의 일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난 둘 다 원하진 않는다. 그렇다고 평생 주니어 개발자로 일하고 싶냐? 하면 그건 더더욱 아니기 때문에 결국은 한 발짝을 떼야 한다는 것! 그래서 요 몇 개월 간 내가 기존 업무 방식에서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내가 생각하는 주니어와 시니어 개발자의 차이는 🔎 1. 내가 만들어야 하는 것이 뭔지 손바닥 안에 전부 있다. 기획을 기획자의 의도대로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한 스킬! 2. 개발하는데 얼마나 걸리고, 어느 부분에서 시간이 걸릴 지 개발 전 단계에서 파악이 가능하다. 즉 업무 스케쥴을 정확하게 짤 수 있다. ..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