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N 다시읽기] webpage, website, web server, search engine..정확히 뭘까? - 의외로 개발자들도 잘 틀리는 상식
마릴린벅시
2022. 10. 2. 19:25ㆍ개발
webpage, website, web server, search engine..정확히 뭘까?
이 용어들은 자주 혼동되어 사용된다고 한다. 특히 웹페이지와 웹사이트는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일 때가 정말 많다.
그리고 웹서버는 뭐며, 서치 엔진은 뭔가..하는 생각도 든다.
이 뜻에 대해 정확히 안다고 해서 개발을 더 잘하게 되는 것은 아니나, 개발 문서를 읽거나 팀원과 소통할 때, 내가 문서를 작성할 때 더 정확한 뜻을 이해하고 전달 할 수 있다.
Web page
- 크롬, 파이어폭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웹 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는 문서를 말한다. (그냥 페이지라고도 불림)
- html로 작성되었다.
- 웹페이지는 다양한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스타일 정보 (ex: css) : 스타일정보를 읽고 계산해서 DOM을 CSSOM으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요소를 담은 Render Tree가 완성된다. (CSSOM : CSS + DOM)
- script : 페이지에 상호작용 기능을 추가해주는 js코드가 들어있다.
- 미디어 : 이미지, 음악, 비디오 파일 등
- 브라우저는 pdf파일, 이미지 등 다른 다양한 문서들도 표시할 수 있지만, 용어 웹 페이지는 html문서를 나타낸다. 그 외에는 그냥 문서라는 용어만 사용한다.
- 모든 웹페이지는 고유한 주소로 접근할 수 있다. 페이지에 접속하려면 그냥 웹페이지 주소를 브라우저 주소 창에 입력하면 된다.
- ex : https://kasts91.tistory.com/42 (=고유한 주소)
Website
- 보통 웹사이트, 사이트 라고 불린다.
- 고유한 도메인 이름을 공유하는 웹 페이지들의 모음이다.
- 보통 서로 그룹화 되어있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 cupang 웹사이트에는 my page도 있고 다양한 상품들의 페이지들이 있다. cupang에 관련된 페이지들이 모두 모여 있으므로 cupang은 웹사이트다. 그리고 그 안에 상품 페이지나 my page 등은 웹 페이지라고 보면 된다.
- 웹사이트의 각 웹 페이지들은 사용자가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제공한다. (ex: a태그로 감싸진 텍스트)
Web server
-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 호스팅이란?
- 웹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서버 프로그램을 통해 작동한다.
- 유저가 웹페이지에서 정보를 입력하거나 어떤 명령을 내리면 클라이언트가 서버 컴퓨터에게 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 서버 컴퓨터는 요청한 데이터를 찾아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주는 등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부분에 대한 응답을 보낸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내준 응답을 잘 가공해서 유저에게 보여준다.
- 이 때 서버 컴퓨터는 24시간 내내 켜져 있어야 하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며, 보안 시스템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 이 때문에 보통은 개인이 서버 컴퓨터를 관리하기 보다는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그리고 호스팅(Hosting)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 웹 서버가 여러개의 웹사이트를 호스팅 할 수 있기 때문에, 웹 서버라는 용어는 웹사이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선 안 된다.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웹 서버가 쿠팡과 구글을 호스팅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웹 서버를 웹사이트라고 부르는게 이상하겠죠?)
Search engine
- 검색 엔진은 특별한 종류의 웹사이트로, 유저가 다른 웹 페이지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웹사이트를 의미한다.
- 구글이나 야후, Bing, Yandex 등등이 있다.
- 검색 엔진은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액세스 된다. (ex: 파이어폭스나 크롬 등의 주소 표시줄에서 직접 검색 엔진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
- 많은 사람들이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을 혼동한다. 왜냐하면 크롬을 켰을 때 구글 검색 창이 먼저 뜨기도 하고, 크롬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글에서 검색결과가 표시되기 때문이다.
-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표시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검색엔진은 사람들이 다른 웹사이트에서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사이트이다.
- 브라우저를 키면 바로 검색 엔진이 홈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혼동이 생긴 것이다.
Web server에 대한 시뮬레이션
당신이 도서관에 간다고 해보자.
- 검색어를 검색해 원하는 책의 위치를 찾는다.
- 책의 위치 번호를 기록한다.
- 책이 있는 섹션으로 이동해서 책 번호를 통해 책을 가져온다.
이걸 웹 서버와 비교해보자.
- 도서관은 웹 서버와 같다. 여기에 있는 책 검색 기계가 search engine 이다.
- search engine으로 웹페이지(책)를 검색하여 웹사이트(책이 위치한 섹션) 위치를 확인하고, 웹페이지가(책) 위치한 번호(URL)을 확인한다.
-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내 인생 구하기 (개리 비숍) : 너만이 너를 구할 수 있다.
내 인생은 그동안 쳇바퀴같았다. 궤도에 올랐다 생각되는 순간이 있었고, "그래! 드디어!" 하기 무섭게 궤도에서 벗어난다. 이것은 내 인생을 내가 통제할 수 없다는 기분을 느끼게 했다. 그리고
kasts91.tistory.com
내 인생 구하기 (개리 비숍) : 너만이 너를 구할 수 있다.
내 인생은 그동안 쳇바퀴같았다. 궤도에 올랐다 생각되는 순간이 있었고, "그래! 드디어!" 하기 무섭게 궤도에서 벗어난다. 이것은 내 인생을 내가 통제할 수 없다는 기분을 느끼게 했다. 그리고
kasts91.tistory.com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용어] MVP, 마일스톤, 비즈니스로직, IR, PoC 란? (0) | 2023.02.05 |
---|---|
[REST API]2. REST API 디자인 가이드 ✏️ (1) | 2023.01.08 |
[REST API]1. REST API란 (2) | 2022.12.31 |
[HTTP기초] 2. Data URI이란? - html에 데이터를 쉽게 첨부하는 방법! (1) | 2022.10.05 |
[HTTP 기초] 1. URL과 URI ( + URN) - 개발 지식 기초 of 기초 (0)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