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덕스 아키텍처 Best practice
리덕스를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든 상태관리를 리덕스를 통해 해야 할까? 아니면 적절하게 어떤건 리덕스에, 어떤건 컴포넌트에 저장해놓고 사용하면 될까? 적절하게의 기준은 뭘까? 리덕스 툴킷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안한 리덕스 아키텍처 best practice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리덕스란?리액트에서 state는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역 state와 로컬 state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리덕스는 전역 state(상태) 관리를 도와주는 툴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다. 그리고 리덕스 툴킷은 기존에 리덕스를 작성하기 위해 요구되었던 불편함들을 해소하고 리덕스를 작성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다. 리덕스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보일러플레이트도 더 적다..
2023.11.03